세컨드 브레인은 옵시디언 입문 4일차

고급 마크다운 문법 익히기 표 만들기 표 추가하기 : 명령어 팔레트에서 ‘Insert table’ 기본적으로 1행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굵게 처리됩니다. 마크다운 문법으로 표를 작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 행을 구분할 때는 개행을,…

고급 마크다운 문법 익히기 표 만들기 표 추가하기 : 명령어 팔레트에서 ‘Insert table’ 기본적으로 1행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굵게 처리됩니다. 마크다운 문법으로 표를 작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 행을 구분할 때는 개행을,…

노트에 링크로 정보 연결하기 내부 링크로 노트 연결하기 내부 링크는 볼트 안에 있는 노트의 연결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링크할 노트의 제목]] [Cmd]나 [Ctrl]을 누른 상태에서 내부 링크에 마우스를…

코어 플러그인 알아보기 옵시디언에서 기본 제공하는 플러그인을 코어 플러그인이라고 합니다. – Backlinks : 현재 노트를 링크하는 노트 또는 현재 노트의 이름이 언급되었지만 링크되지 않은 노트를 보여주는 플러그인 – Canvas :…

방송대 종강 기념으로 전자도서관에서 대출을 해서 이번에야 말로 완독을 하려 합니다. 이미 노션과 굿노트를 사용하고 있지만 옵시디언도 사용하고 싶어요. 무엇보다 옵시디언은 초기장벽이 굉장히 높은 느낌이라서 정복욕을 더욱 자극하는군요. 지난번에도…

제조업 현장에서 효율적인 생산운영관리를 위해서는생산계획 수립, 생산능력 분석, 부하량 산출, 평준화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생산운영관리 절차서 기반으로전문적인 생산계획 수립과 운영관리 체계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중·장기 및 연간 생산계획 수립…
1. 지수평활법 (Exponential Smoothing) 1-1. 개념 과거 값에 가중치를 두는데, 최근 값일수록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이에요. 과거 데이터를 오래된 순서대로 잊어버리면서 최근 데이터에 비중을 두는 방식 1-2. 단순 지수평활…
1. 가성적 회귀란? 1-1. 문제 상황 시계열 데이터 두 개가 둘 다 불안정(단위근이 있는 경우, I(1))인데이걸 그냥 회귀하면 R² 값이 0.9 이상 뜨고 잔차는 분명히 상관이 있는 엉터리 결과가 나오는…
1. VAR 모형이란? 1-1. 시계열 예측 기본 기존에는 AR, ARIMA 모형처럼 한 변수만 시간에 따라 분석했죠. 그런데 현실에서는 여러 변수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동시에 움직이므로그걸 고려해야 해요. 그래서 등장한 게…
예측데이터의 시계열분해(2) — 계절조정, 추세, 순환변동까지 1. 계절조정법 시계열 데이터에는 계절성(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패턴)이 존재합니다.이를 제거해서 순수한 추세와 변동성만 남긴 값을 얻는 것이 계절조정이에요. 1-1. STL 계절조정법 STL(Seasonal and Trend…
예측데이터의 시계열분해(1) — 기초부터 정리 1. 시계열분해란? 시계열분해(time series decomposition)란,시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를 여러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데이터를 그냥 한 덩어리로 보는 게 아니라,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패턴을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