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RIMA모형

[R 시계열분석 기초] ACVF, ACF, PACF 개념 완전 정복

시계열 데이터에서 왜 필요한가? 시계열 데이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입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할 때 중요한 건 과거 값이 현재나 미래 값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이죠. 이걸 확인하려면 서로 시간 간격(lag)이 있는 값들끼리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알아야 하는데, 그걸 측정하는 게 바로 자기공분산함수(ACVF) 자기상관함수(ACF)   자기공분산함수(Autocovariance Function, ACVF) 정의 시간차(시차)…

[예측방법론] 8강. ARIMA 추정, 진단, 예측, 변동성 모형

1. ARIMA 모형의 추정 추정 방법 최대우도법 (ML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개념 : 주어진 데이터가 관측될 확률(우도, likelihood)을 가장 크게 만드는 파라미터 값을 찾는 방법. 주로 확률모형에 사용 (ex. 정규분포 평균, 분산 추정) 우도의 로그값(log-likelihood) 을 최대화해서 계산하는 게 일반적. “이 데이터가 이렇게 나올 확률을 가장 높게 만드는 파라미터가 뭐냐?”…

[예측방법론] 7강. 시계열 모형 검정과 ARIMA 식별 완전 정리

1. 시계열 모형 관련 검정 단위근 검정 (Unit Root Test) 시계열 데이터가 불안정한지 확인하는 검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 ADF(Augmented Dickey-Fuller) 검정입니다. 단위근 (Unit Root) 이란? 시계열 데이터에서 자기상관 계수 ϕ=1\phi = 1인 경우를 단위근이 있다고 합니다. 단위근이 있는 시계열은 비정상 시계열이라서 평균이 시간에 따라 변하고 분산도 무한대로 커지고 충격이…

[예측방법론] 6강. 불안정, 비선형 시계열모형 완전정리

1. 불안정 시계열 모형 확률보행 모형 (Random Walk) 확률보행 모형은 가장 기본적인 불안정 시계열 모형으로, 현재 값이 이전 값에 오차항이 더해진 형태입니다. Yt=Yt−1+ϵtY_t = Y_{t-1} + \epsilon_t​ 여기서 ϵt\epsilon_t 는 평균 0, 분산 σ2\sigma^2 인 백색잡음. 특징 : 평균이 일정하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분산이 커짐 안정성 없음 차분 (Differencing) 불안정…

[예측방법론] 1강. 예측의 개념과 방법 쉽게 정리

예측방법론 1강 — 예측의 개념과 방법 쉽게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예측방법론 1강 강의 내용을 초보자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미래를 어떻게 예측하고, 어떤 방법으로 분석하는지 데이터마이닝, 경영전략, 경제전망에서 아주 중요한 기본 개념을 이번 글에서 깔끔하게 정리해볼게요. 1. 예측의 개념과 필요성 예측이란? 미래에 발생할 사건이나 현상을 추정하는 것입니다.불확실성을 줄이고, 합리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