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관리 전략 : 고금리 대출부터 신용불량 피하는 법

부채란 무엇인가?

부채란 쉽게 말해 지금 내가 갚아야 하는 빚입니다. 돈을 빌린 만큼 미래에 갚아야 할 의무가 있는 걸 의미합니다.

보통 우리는 은행 대출, 카드 할부금, 카드론, 학자금 대출, 캐피탈 할부금, 핸드폰 할부금 같은 형태로 부채를 지게 됩니다.

부채는 한편으론 꼭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적절하게 활용하면 필요한 자금을 미리 마련해 학비, 생활비, 주거비 같은 목돈이 드는 일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부채가 지나치게 많아지거나 상환 능력을 넘어서면 개인 재정이 급격히 무너진다는 겁니다.


부채의 종류

부채는 크게 건전성 부채비건전성 부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건전성 부채는 학자금 대출, 주택자금 대출처럼 꼭 필요한 지출이나 투자 목적의 대출을 말합니다. 일정한 계획 하에 갚아나가면서 이득이 발생할 수 있는 부채입니다.

반면 비건전성 부채는 카드론, 현금서비스, 과도한 소비성 대출 같은 것들입니다. 금리가 높고 상환계획이 부족해 연체 위험이 큽니다. 이런 부채는 빨리 정리하고 줄여나가는 게 중요합니다.


부채가 위험한 이유

부채의 가장 큰 문제는 복리의 덫에 빠지기 쉽다는 점입니다.

내가 100만원을 빌리고 갚지 못하면 이자가 붙고, 그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으면서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특히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같은 고금리 상품은 이자율이 10~20%가 넘기 때문에 금방 갚지 않으면 상환 부담이 폭발적으로 늘어납니다.

또한 부채가 많아지면 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어지고, 대출금리가 더 높아지거나 금융거래가 어려워집니다. 심할 경우 신용불량 상태가 되어 사회생활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부채관리 잘하는 법

부채를 지는 게 무조건 나쁜 건 아니지만, 계획적이고 현명하게 관리하는 게 정말 중요합니다. 다음의 몇 가지 방법을 잘 기억해두세요.

첫째, 부채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라.
내가 어디에 얼마를 빌렸는지, 이자는 얼마나 나가고 있는지 꼼꼼하게 정리해야 합니다. 가끔 보면 자기가 지고 있는 빚이 얼마인지도 모르는 사람도 많더군요.

둘째, 고금리 부채부터 먼저 갚아라.
카드론, 현금서비스 같은 이자가 높은 부채는 최소한의 생활비를 남기고 가능한 빨리 갚는 게 좋습니다. 고금리 부채를 계속 두면 다른 대출 이자보다 2~3배 더 빠른 속도로 빚이 늘어납니다.

셋째, 대출 한도 내 소비 습관을 고쳐라.
자기 소득을 넘는 과소비는 반드시 끊어야 합니다. 월급보다 할부금, 카드값, 대출 이자가 많아지는 순간부터 재정은 위태로워집니다.

넷째, 대환대출, 통합대출 활용하기.
여러 군데 고금리 대출을 쪼개서 갚고 있다면, 대환대출로 낮은 금리 하나로 통합하는 방법도 좋아요. 이렇게 하면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섯째, 연체는 절대 금물.
한 번이라도 연체되면 신용점수는 급격히 떨어지고, 이후 대출 금리도 오르고, 이용 가능한 금융상품도 제한됩니다. 절대 연체는 하지 말 것.


과도한 부채의 사회적 문제

요즘 우리 사회에서도 과도한 가계부채가 큰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부채로 인해 생활이 힘들어지고, 사회적 고립이나 우울증, 심지어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심심찮게 뉴스에 나옵니다.

그래서 개인의 재무건전성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금융안전망을 위해서라도 부채관리가 중요합니다. 정부나 금융당국도 과도한 대출을 막기 위해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같은 규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정리하며

이번 편에서는 부채의 개념, 종류, 위험성, 관리방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부채는 적절하게 활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계획 없는 과도한 부채는 인생을 송두리째 망칠 수 있는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소득과 지출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고금리 부채는 빨리 정리하고, 과소비는 줄이며, 절대 연체는 하지 않는 습관을 들이길 바랍니다.

다음 편에서는 리스크관리와 보험의 원리와 중요성을 다룰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